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분황사 모전석탑은 선덕여왕 3년(634년) 분황사 창건과 함께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신라 시대의 석탑이다. 현존하는 신라 석탑 중 가장 오래되었으며, 안산암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아 올린 모전석탑 양식으로 경주에 유일하게 남아있다. 9.3m 높이의 3층 석탑으로, 1층 탑신에는 감실과 금강역사상이 조각되어 있다. 1915년 일제강점기에 수리되었으며, 사리함 등 유물이 발견되었다. 한국 석탑의 초기 양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물로, 7세기 신라 조각 양식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7세기 석탑 -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은 통일신라시대 고선사 옛 터에 세워진 석탑으로, 덕동댐 건설로 국립경주박물관으로 이전되었으며, 통일신라시대 석탑의 전형적인 양식을 보여주는 초기 석탑 양식의 중요한 유물이다. - 7세기 석탑 - 익산 미륵사지 석탑
익산 미륵사지 석탑은 백제 무왕 때 미륵사 창건과 함께 세워진 한국에서 가장 오래되고 큰 석탑으로, 목탑에서 석탑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재이며, 2019년 보수 공사가 완료되었다. - 모전석탑 -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은 고려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석탑으로, 회녹색 석회암 탑신부와 화강암 기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탑 내부에서 사리와 관련 기록이 발견된 고려 시대 불교 미술 양식을 보여주는 문화유산이다. - 모전석탑 - 제천 교리 방단적석유구
제천 교리 방단적석유구는 충청북도 제천시 교리에 위치한 고려 시대 석탑으로 추정되는 석조 유구이며, 기단과 탑신 일부가 남아있고, 관련 기록과 주변 유물, 석탑 양식 등을 통해 건축 양식의 특징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는다.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한글 |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
한자 | 慶州 芬皇寺 模塼石塔 |
가타카나 | 쿄-쥬 분코-지 모센세키토- |
히라가나 | 케이슈우 훈코우지 모센세키토우 |
로마자 표기 (Revised Romanization) | Gyeongju Bunhwangsa Mojeonseoktap |
로마자 표기 (alphabet-type) | Stone Brick Pagoda of Bunhwangsa Temple, Gyeongju |
위치 |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313 (분황로 94-11) |
문화재 정보 | |
이름 |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慶州 芬皇寺 模塼石塔) (Stone Brick Pagoda of Bunhwangsa Temple, Gyeongju) |
그림 | Korea-Gyeongju-Bunhwangsa seoktap-04.jpg |
국가 | 대한민국 |
유형 | 국보 |
번호 | 30 |
지정일 | 1962년 12월 20일 |
주소 | 경상북도 경주시 분황로 94-11, 분황사 (구황동) |
시대 | 신라 |
소유 | 분황사 |
수량 | 1기 |
설명 | |
참고 자료 |
2. 역사
분황사 모전석탑은 선덕여왕 3년(634년) 분황사 창건과 함께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안산암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아 올린 모전석탑으로, 경주에 현존하는 유일한 것이다.[7] 원래 9층이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7층 또는 5층이었다는 주장도 있어 확실하지 않으며, 현재는 3층만 남아있다.[9]
13세기 몽골의 고려 침략,[10] 임진왜란(1592년)[11] 등을 거치며 일부 파괴되었고, 이후 복원 과정에서 원형이 손상되기도 했다.
2. 1. 일제강점기 수리 논란
1915년 조선총독부가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을 수리할 때, 2층과 3층 사이에서 사리함(사리함한국어)이 발견되었다.[12] 함 안에서는 옥, 구리 가위, 은제 침통, 금제 침, 금제령, 금속제 실 감개, 향목, 조개(고둥) 등과 함께 고려(918-1392년) 이후의 고전(동전)이 발견되었다.[13] 이는 고려 시대에 다시 봉납된 것으로 여겨지며, 탑의 개축을 시사한다.[14]이러한 조선총독부의 수리는 분황사 모전석탑의 원형을 훼손하고, 석탑 내부 유물을 약탈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이는 일제강점기 문화재 정책의 한계를 드러내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3. 구조
신라 석탑 가운데 가장 오래된 걸작품으로, 돌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아올린 모전석탑이다. 원래 9층이었다는 기록이 있고 7층이었다는 주장도 있지만 확실하지 않으며, 지금은 3층만 남아있다.
탑은 넓직한 1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쌓아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벽돌이 아닌 자연석으로 이루어져 있고, 네 모퉁이마다 화강암으로 조각된 사자상이 한 마리씩 앉아있다. 회흑색 안산암을 작게 벽돌모양으로 잘라 쌓아올린 탑신은 거대한 1층 몸돌에 비해 2층부터는 현저하게 줄어드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1층 몸돌에는 네 면마다 문을 만들고, 그 양쪽에 불교의 법을 수호하는 금강역사(인왕상)을 조각해 놓았다. 지붕돌은 아래윗면 모두 계단 모양의 층을 이루고 있는데, 3층 지붕돌만은 윗면이 네 모서리에서 위쪽으로 둥글게 솟은 모양이며, 그 위로 화강암으로 만든 활짝 핀 연꽃장식이 놓여 있다.
현재 모전석탑은 높이 9.3m이다. 기단은 한 변 약 13m(동서 13m, 남북 13.2m[15]), 높이 약 1.06m이다. 1층 탑신의 크기는 한 변 약 6.6m (6.5m[15]), 높이 약 4m[16]이다.
구분 | 상세 |
---|---|
기단 | 한 변 약 13m, 높이 약 1.06m, 자연석 축조, 네 모퉁이에 화강암 사자상 배치 |
탑신 | 회흑색 안산암을 벽돌 모양으로 잘라 쌓음, 1층에 비해 2층부터 크기가 현저히 줄어듦, 1층 탑신에는 네 면에 감실이 있고, 입구 양쪽에 화강암 금강역사(인왕상) 배치[16][17] |
지붕돌 | 아래윗면 모두 계단 모양, 3층 지붕돌 윗면은 네 모서리가 둥글게 솟은 모양, 화강암 연꽃 장식 |
3. 1. 조각상
분황사 모전석탑 1층 탑신 네 면에는 감실이 있고, 입구 석문 양쪽에 화강암으로 된 금강역사(인왕상)가 배치되어 있다.[16][17] 8개의 조각상 모두 남아있으며, 7세기 전반 고신라(삼국 시대 신라) 시대의 양식을 보여준다.[6][18] 부드러우면서도 힘차게 표현된 인왕상 조각은 당시 신라 조각양식을 살피는데 좋은 자료이다. 감실 안에는 석불이 있지만, 원래는 없었으며 후대에 안치된 것이다.[17]4. 현대적 의의
분황사 모전석탑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신라 석탑으로, 익산 미륵사지 석탑(국보 제11호)과 함께 한국 석탑의 초기 양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물이다. 선덕여왕 3년(634) 분황사 창건과 함께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탑은, 안산암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아 올린 모전석탑이다.[4][5][6] 부드러우면서도 힘차게 표현된 인왕상 조각은 7세기 신라 조각양식을 살피는데 좋은 자료가 된다.
1915년 일본인에 의해 수리된 이후 현재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으며, 당시 탑 안에서 사리함과 구슬 등 많은 유물들이 발견되었다.
분황사 모전석탑은 단순한 문화유산을 넘어, 한민족의 역사와 정체성을 상징하는 중요한 상징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신라의 석조 기술과 불교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5.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慶州 芬皇寺 模塼石塔)
http://www.heritage.[...]
문화재청
2023-02-27
[2]
간행물
한국文化財保護協会
한국文化財保護協会
[3]
웹사이트
慶州歴史遺跡地区[ユネスコ世界遺産(文化遺産)](경주역사유적지구[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https://japanese.vis[...]
한국관광공사
2023-03-05
[4]
간행물
秦
秦
[5]
웹사이트
塼塔
https://kotobank.jp/[...]
2023-03-08
[6]
웹사이트
국보 제 30호 분황사석탑(芬皇寺石塔)
http://www.kjsilla.r[...]
신라문화유산연구원
2023-03-08
[7]
간행물
秦
秦
[8]
웹사이트
皇竜寺九層塔
https://kotobank.jp/[...]
2023-03-08
[9]
간행물
東、田中
東、田中
[10]
서적
歴史探訪 韓国の文化遺産 下 慶州・釜山
산천출판사
[11]
간행물
東、田中
東、田中
[12]
간행물
秦
秦
[13]
웹사이트
芬皇寺石塔舎利具
https://gyeongju.mus[...]
국립경주박물관
2023-03-08
[14]
간행물
東、田中
東、田中
[15]
간행물
한국文化財保護協会
한국文化財保護協会
[16]
간행물
秦
秦
[17]
간행물
東、田中
東、田中
[18]
간행물
山本
山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